Page 31 - 2025학년도 경북대학교 대학 안내
P. 31

2025학년도 KNU 캠퍼스 가이드
31
구분 문항 비고
강의유형별
문항
16. 강의는 영어로 진행되었다.
(5점: 80% 이상, 4점: 60-80%, 3점: 40-60%, 2점: 20-40%, 1점: 20% 이하)
17. 본 강의를 통해 전공 또는 해당 분야의 영어능력이 향상되었다.
영어강의
16. 교수는 온라인 강의내용에 대한 학생의 선행학습 이해정도를 확인하였다.
17.  교수는 온라인에서 학습한 내용을 적용 · 분석할 수 있도록 오프라인 수업 활동을
운영하였다.
플립드러닝 강의
16.  교수는 학생과의 원활하고 신속한 소통(게시판, LMS 활용 등)을 위해 노력하
였다.
17.  교수는 강의 운영(강의 수강일정, 시험, 과제 등)과 관련해 사전에 충분히 공지
하였다.
온라인
강의
일반대학원
과목
16. 강의는 전공분야 연구를 위해 필요한 전공 지식 강화에 도움이 되었다.
17.  교수는 전공분야 연구자(교육자)로서 필요한 역량강화에 도움이 되는 교육방법을
활용하였다.
일반대학원
법전원
융 · 결합과목
16. 강의는 변호사 실무능력 배양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었다.
17. 강의는 법조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태도를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법전원
교수
선택문항
18. 교수는 강의내용을 체계적으로 조직하여 설명하였다.
19. 교수는 학습내용의 전달을 위해 목소리의 강약과 완급을 조절하며 설명하였다. 이론강의
18. 교수는 학생이 토론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19. 교수는 토론 활동에 대한 명확한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토론식
강의
18.  교수는 팀프로젝트 수업의 운영방식(팀 구성, 일정, 결과물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 주었다.
19. 교수는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시의적절한 지도를 해 주었다.
팀프로젝트
18. 교수는 실험 · 실습 강의의 과정을 관련 이론과 연계해 진행하였다.
19.  교수는 실험 · 실습 강의의 형식(실험목적, 진행방식, 주의사항, 결과물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 주었다.
실험 · 실습
[설문지 Ⅱ] 서술형 평가 <문항별 200자 이내로 작성>
1. 이 강의에서 가장 인상 깊고 유익한 부분은 무엇입니까?
2. 이 강의에서 보완 및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무엇입니까?
3. 강의 내용의 양과 난이도는 어떠합니까?


















































   29   30   31   32   33